본문 바로가기
풀스택 개발일지

👨‍💻 [풀스택] Flask, 미니프로젝트

by 노랑사랑팽이 2022. 7. 15.

✏️HTML과 mongoDB까지 연동해 서버 만들기

클라이언트 = 서버

🔎 나홀로 메모장

스파르타코딩클럽 | 나홀로 메모장 (spartacodingclub.shop)

 

스파르타코딩클럽 | 나홀로 메모장

 

spartacodingclub.shop

 

🔎 모두의 책리뷰

모두의 책리뷰 | 스파르타코딩클럽 (spartacodingclub.shop)

 

모두의 책리뷰 | 스파르타코딩클럽

 

spartacodingclub.shop

 

🔎 마이페이보릿무비스타

마이 페이보릿 무비스타 | 프론트-백엔드 연결 마지막 예제! (spartacodingclub.shop)

 

마이 페이보릿 무비스타 | 프론트-백엔드 연결 마지막 예제!

마이 페이보릿 무비스타😆 순위를 매겨봅시다

spartacodingclub.shop

 

 

✏️서버 만들기

📌 Flask 패키지 설치

from flask import Flask
app = Flask(__name__)

@app.route('/')
def home():
   return 'This is Home!'

if __name__ == '__main__':  
   app.run('0.0.0.0',port=5000,debug=True)

 

🔎 Flask 서버 만들때 폴더 설정

프로젝트 폴더 안에,

📌 static 폴더 (이미지, css파일을 넣어둡니다)

📌 templates 폴더 (html파일을 넣어둡니다)

📌 app.py 파일

 

그린 북 : 네이버 영화 (naver.com)

flask 내장함수 render_template를 이용

from flask import Flask, render_template
app = Flask(__name__)

## URL 별로 함수명이 같거나,
## route('/') 등의 주소가 같으면 안됩니다.

@app.route('/')
def home():
   return render_template('index.html')

if __name__ == '__main__':
   app.run('0.0.0.0', port=5000, debug=True)

 

🔎 본격 API 만들기

📌 API설계

서비스 기능, 어떤 순서로 구현할 것인지

 

1. URL, 코멘트 값을 받아 서버에 전달

2. 서버에서 그 데이터를 받아 저장 ( URL 크롤링 통해 얻은 이미지, 제목, 요약, 코멘트, 클릭 시 이동할 링크)

3. 저장한 데이터 클라이언트에 보여주기

 

즉, 메모를 작성하기 위해 서버가 전달받아야하는 정보는 다음 두 가지 입니다.

- URL(url_give)

- 코멘트(comment_give)

 

그리고 URL를 meta tag를 스크래핑해서 아래 데이터를 저장(Create)합니다.

- URL(url)

- 제목(title)

- 설명(desc)

- 이미지URL(image)

- 코멘트(comment)

 

따라서 서버 로직은 다음 단계로 구성되어야 합니다.

1.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를 받기.

2. meta tag를 스크래핑하기

3. mongoDB에 데이터를 넣기

 

 

📌 GET

1,2번, Create

데이터 전달,  URL 뒤에 물음표를 붙여 key=value로 전달 

예: google.com?q=북극곰

 

📌 GET 요청 API코드

@app.route('/test', methods=['GET'])
def test_get():
   title_receive = request.args.get('title_give')
   print(title_receive)
   return jsonify({'result':'success', 'msg': '이 요청은 GET!'})

 

📌 GET 요청 확인 Ajax코드

$.ajax({
    type: "GET",
    url: "/test?title_give=봄날은간다",
    data: {},
    success: function(response){
       console.log(response)
    }
  })

 

📌 POST 

3번, Read

데이터 전달, 바로 보이지 않는 HTML body에 key:value 형태로 전달

 

📌 POST 요청 API코드

@app.route('/test', methods=['POST'])
def test_post():
   title_receive = request.form['title_give']
   print(title_receive)
   return jsonify({'result':'success', 'msg': '이 요청은 POST!'})

 

📌 POST 요청 확인 Ajax코드

$.ajax({
    type: "POST",
    url: "/test",
    data: { title_give:'봄날은간다' },
    success: function(response){
       console.log(response)
    }
  })

 

📌 Put-Update

📌 Delete-Delete

 

🔎 동작테스트

그린 북 : 네이버 영화 (naver.com)

 

그린 북

1962년 미국, 입담과 주먹만 믿고 살아가던 토니 발레롱가(비고 모텐슨)는 교양과 우아함 그 자체인천재...

movie.naver.com

 

댓글